반응형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의 감별 진단
자궁근종(uterine fibroids),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자궁선근증(adenomyosis)은 모두 자궁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슷한 증상들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병인과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 진단이 중요합니다. 이 세 가지 질환의 차이점과 감별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자궁근종 (Uterine Fibroids)
정의
자궁근종은 자궁의 평활근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발생하는 양성 종양입니다. 크기와 수에 따라 증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 과다 월경 (Menorrhagia): 월경량이 많고 월경 기간이 길어집니다.
- 골반 통증: 압박감이나 통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 빈뇨: 근종이 방광을 압박할 경우 빈뇨가 발생합니다.
- 불임: 자궁강 내에 근종이 있거나 크기가 큰 경우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진단 방법
- 초음파 검사: 근종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합니다.
- MRI: 복잡한 근종이나 다른 질환과의 감별에 유용합니다.
- 자궁경검사: 자궁내강 내 근종을 평가합니다.
특징적인 소견
- 초음파에서 경계가 뚜렷한 저에코성 종양으로 나타납니다.
- 월경 중 출혈이 일정하며, 대부분 월경통은 심하지 않습니다.
2. 자궁내막증 (Endometriosis)
정의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강 외부(난소, 복막 등)에 존재하면서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
- 심한 월경통 (Dysmenorrhea): 월경 전후로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 골반통: 월경 주기와 관련 없이 지속적인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성교통 (Dyspareunia): 깊은 성교 시 통증이 발생합니다.
- 불임: 자궁내막증 환자의 약 30-50%가 불임을 경험합니다.
진단 방법
- 초음파 검사: 난소 내 초콜릿 낭종(자궁내막종)이 보일 수 있습니다.
- MRI: 병변의 위치와 범위를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 복강경 검사: 확진을 위해 병변 조직을 직접 관찰하고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특징적인 소견
- 초콜릿 낭종: 난소에 고여 있는 오래된 혈액이 초콜릿처럼 보입니다.
- 복강경 검사에서 파란색 또는 검은색 병변이 보일 수 있습니다.
3. 자궁선근증 (Adenomyosis)
정의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으로 침투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자궁이 비대해지고, 근육층에 염증과 섬유화를 유발합니다.
주요 증상
- 심한 월경통: 월경 기간 동안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 과다 월경: 월경량이 많고, 자궁 전체에서 출혈이 발생합니다.
- 골반 압박감: 자궁이 커지면서 주변 장기를 압박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방법
- 초음파 검사: 자궁벽이 두껍고 불균일하게 보입니다.
- MRI: 근층 내 병변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징적인 소견
- 초음파에서 자궁벽의 비대와 불균일한 근육층이 보입니다.
- 자궁은 균일하게 커지며, 경계가 불명확한 병변이 관찰됩니다.
감별 진단 포인트
1. 초음파 소견
- 자궁근종: 경계가 뚜렷한 종괴가 보이며, 저에코성 또는 고에코성 병변입니다.
- 자궁내막증: 난소에 국한된 초콜릿 낭종이 특징적입니다.
- 자궁선근증: 자궁 근층의 전반적인 비대와 불균일한 병변이 특징입니다.
2. 증상 비교
- 자궁근종: 월경과다, 골반 압박감, 빈뇨. 일반적으로 월경통은 경미합니다.
- 자궁내막증: 심한 월경통, 성교통, 불임. 월경 전후의 통증이 특징적입니다.
- 자궁선근증: 심한 월경통, 과다출혈, 자궁 비대. 골반 압박감이 동반됩니다.
3. MRI 소견
- 자궁근종: 경계가 뚜렷한 저신호 결절로 나타납니다.
- 자궁내막증: 난소나 복강 내에 고신호 병변이 관찰됩니다.
- 자궁선근증: 자궁 근층 내 저신호 병변과 전반적인 자궁 비대가 관찰됩니다.
4. 복강경 검사
- 자궁내막증: 복강경 검사를 통해 직접 병변을 관찰하며, 조직검사로 확진합니다.
-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은 복강경 검사로도 일부 감별 가능하지만, 주로 영상학적 검사가 중요합니다.
결론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은 증상이 유사하지만, 병리학적 특성과 치료 접근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환자의 증상, 초음파 및 MRI 소견, 복강경 검사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진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